반응형

제 27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은 사정이 생겨 보러가지 못했고 28회 보러 다녀왔다
문제 난이도는 중하? 정도 됐던 것 같다
오픈채팅방에서도 여러번 복기 하고 문제 공유를 했었는데 찾으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복원한 것을 남긴다
현재 데이터에듀에 복원이 된 것 같으나 빠진 문제도 있고.. 좀 이상하다;;
혹시라도 답안이 틀리거나 하면 댓글 부탁드립니다~
1과목
| 순서 | 문제 | 답 |
| 객1 | 빅데이터 특성 틀린 것은? | 데이터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분석을 해야한다 |
| 객2 | 데이터 크기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| 페타 -> 엑사 -> 제타 -> 요타 (페타로 시작하는게 하나였음) |
| 객3 | 책임원칙의 훼손은? | 범행 전 체포 |
| 객4 | 행태분석이 아닌 것은? | 연중 정당별 선호도 변화 |
| 객5 | 데이터를 DBMS에 모아 관리하는 것? | 데이터 웨어하우스(데이터 마트는 특정 업무) |
| 객6 |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표현한 DBMS | 객체지향 DBMS |
| 객7 | 데이터/정보/지식/지혜로 옳은 것은? | 데이터-지혜-정보-지식 |
| 객8 | 분석 기획 고려사항 장애요소로 부적절한 것? | 이해도 높은 모형 보다는 복잡하고 정교한 모형 |
| 단1 | 의사결정을 돕는 리포트 중심의 도구? | BI |
| 단2 | 데이터사이언스트의 역량? | A: 하드스킬, B: 소프트스킬 |
2과목
| 순서 | 문제 | 답 |
| 객9 | 분석과제 관리 부적절한 것? | 분석과제가 확정된 분석과제를 Pool로 관리한다. (분석과제는 pool아님) |
| 객10 | 분석 마스터플랜과 ISP의 관계로 부적절한 것? | 분석마스터 플랜은 ISP와는 다르게 인프라와 모델링에만 신경 쓴다 |
| 객11 | 하향식 데이터 분석 기획 틀린 것은? | 문제 탐색은 유즈케이스보다 새로운 방식 찾아야 한다(유즈케이스 활용해야함) |
| 객12 | SQL DDL, DML 중 다른 것 하나는? | Create(DDL) |
| 객13 | 하향식 접근법 순서 | Problem Discovery -> Problem Definition -> Solution Search -> Feasibility Study (DDSS라 외움) |
| 객14 | 데이터 변환하는 단계는? | 데이터 가공 |
| 객15 | 데이터 분석 조직 구조 | 집중구조(이원화 가능) |
| 객16 | 데이터 마이닝 단계 | 가-나-다-라-마 |
| 단1 | 비즈니스 캔버스 빈칸 | 업무, 제품, 지원 인프라 |
| 단2 | 성숙도 모델은? | CMMI(능력 성숙도 통합 모델) |
3과목
| 순서 | 문제 | 답 |
| 객17 | 오른쪽 꼬리 긴 그래프 순서는? | 최빈값-중앙값-평균(오른쪽 꼬리가 길면 평균이 중앙값보다 큼) |
| 객18 | 협의의 빅데이터 툴 틀린것은? | 분석 Framework |
| 객19 | 분석조직의 역할은? | 기업 내 데이터만 신경쓴다 |
| 객20 | 배열, 교차 판매 데이터마이닝 기법 | 연관규칙 |
| 객21 | 만족도 5점 척도? | 순서척도 |
| 객22 | 상관분석에서 틀린 것은? |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해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선형모형 산출 |
| 객23 | box plot 그림 | Q3 + 1.5IQR 이상은 이상치이다. |
| 객24 | 다중공선성 부적절한 것은? | 다중공선성 문제는 불확실성이 감소 |
| 객25 | 오차 정상성 검정에서 옳지 않은 것은? | |
| 객26 | Tree 상관분석 표 부적절한 것은? | Tree 3은 Tree 4보다 0.45 정도 더 크다 |
| 객27 | Speed 회귀분석 표 부적절한 것은? | Speed와 Dist의 상관관계 분석은 0보다 크다(상관관계 알 수 없음) |
| 객28 | Hitter 주성분 분석표에서 부적절한 것은? | 공분산행렬을 사용한다(상관행렬 사용함) |
| 객29 | 인공신경망 부적절한 것은? | 인공신경망에서는 뉴런이 자동으로 선택된다. |
| 객30 | 고차원 데이터 뉴런 지도 | SOM |
| 객31 | 시계열 순서는? | ㄱㄴㄷㄹㅁ |
| 객32 | 오분류율 | 13/20 |
| 객33 | 의사결정나무 모형 과대적합 방지법 | 가지치기 |
| 객34 | K-means 부적절한 것은? | 한번 군집 형성된 개체는 다른 군집으로 이동할 수 없다(할 수 있다) |
| 객35 | DBSCAN, DENCLUE | 밀도 기반 군집 |
| 객36 | 이질적인 모집단 세분화한 것은? | 군집분석 |
| 객37 | 원데이터 유지하면서 정규화 하는 것은? | min-mix 방법 |
| 객38 | 향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? | 향상도가 1보다 크면 결과를 예측하는데 우수함 |
| 객39 | Apiori 집합 안 찾아도 되는 것은? | FP-성장 |
| 객40 | 정규성 부적절한 것은? | APRE Test 활용한다 |
| 단1 | 결정계수 구하라 | 3162 / (3162 + 4105) |
| 단2 | 주기적 변화하는 요인은? | 계절요인 |
| 단3 | 지지도 구하라 | 0.2 |
| 단4 | 층으로 추출하는 법은? | 층화추출법 |
| 단5 | 의사결정 끝마디 멈추는 규칙은? | 정지규칙 |
| 단6 | 의사결정나무과 같은 모형으로, 수학적 계산(등분산성 등)이 필요 없는 모형은? | 비모수모형 |
시험 보신 분들 합격 기원합니다~!
반응형
'AD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ADsP 제 21회~27회 주관식 기출문제(24회 제외) (4) | 2021.06.16 |
|---|---|
| Part2.[2장_데이터 분석 기획]2장. 분석 방법론 - KDD, CRISP-DM 분석 방법론 (2) | 2021.06.16 |
| Part2.[1장_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] 2절. 분석 방법론 (0) | 2021.06.16 |
| Part2.[1장_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] 1절. 분석기획 방향성 도출 (1) | 2021.06.16 |
| [2장_데이터의 가치와 미래] 4절. 위기 요인과 통제 방안 (1) | 2021.06.16 |
댓글